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자취방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총정리와 꿀팁

by 자취생의 이것저것 2025. 1. 13.
반응형

1.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이란?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은 말 그대로 전세자금이 부족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전세자금을 대출해주는 상품입니다.

특히 사회초년생들이나 자취를 시작하게 되는 대학생들에게는 눈이 돌아갈만한 상품입니다.

2. 대출대상

 

명시된 대출대상은 총 8개로 전부 충족시켜야 가능하다고 나와있습니다.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만19세 ~ 만 34세 이하의 세대주 혹은 예비 세대주>, <세대주 포함 전원 무주택>, <계약금 5% 이상 지불>, <신용에 문제가 없는 자>, <자산 조건을 충족하는 자> 으로 볼 수 있습니다.

3. 대출 한도

 

대출 한도는 총 2억원이내로 임차보증금의 80%이내 입니다.

즉, 전세가가 3억이라고 가정을 했을때 임차보증금의 80%는 2억4000만원이지만 실제 대출은 2억까지 가능한 것입니다.

만약, 만25세 미만이라면 1억5000만원이 최대입니다.

 

 

4. 대출 금리

 

기본적인 대출 금리는 사진과 같이 연소득에 따라 연 2.0% ~ 3.1% 까지 나뉘어집니다.

추가로 우대 금리가 여러가지 있습니다.

 

 

부동산 전자계약 체결 시 연 0.1%p 우대금리가 있는데 전자계약이 복잡하지 않으니 할 수 있으면 하는게 좋습니다.

자취를 하는 대학생들은 큰 집이 필요하지않기 때문에 청년가구 우대금리 조건을 충족시키기 쉽습니다.

집을 잘 구해서 연 0.3%p 우대를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5. 진행 방식

① 원하는 지역에 부동산을 돌아다니면서 버팀목 전세대출이 가능한 집을 찾는다.

② 조건에 부합하는 집을 찾으면 등기부등본을 받아서 은행으로 찾아가서 대출상담을 받는다.

└ 대출 거절을 당할수도 있기때문에 계약 전에 은행으로 가서 가능한지 물어봐야 합니다.

└ 은행에서 거절을 하더라도 좌절하지말고 주변에 모든 은행을 찾아가야 합니다. (해주는 곳이 있음)

③ 은행에서 가능하다고 답변을 들으면 부동산에 다시 찾아가서 봐두었던 집을 계약합니다.

└ 대출조건이 계약금 5% 이상이기 때문에 꼭 5~10%로 계약금을 걸어두세요.

④ 은행에서 요구하는 서류들을 구비해서 대출심사를 진행합니다.

└ HUG 심사 -> 은행 대출 실행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6. 직접 알아보며 얻은 꿀팁

위의 모든 조건을 충족시켜서 HUG의 승인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은행에서 대출을 거부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HUG심사의 기본조건이 계약금을 걸어두는건데 대출 거부를 당해버리면 목돈이 없는 사람으로서는 2가지 방법밖에 없습니다.

 

1. 계약금을 포기하고 계약을 취소

2. 청년 전세대출에 비해 금리가 높은 일반 전세대출 실행

 

요즘 검색해보면 뉴스에도 저런 경우때문에 피해를 입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만약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을 알아보신다면 꼼꼼히 체크해서 손해보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