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내용
문제를 요약하자면 주어진 my_string 문자열의 부분 문자열중에 내가 찾는 target이 있냐 라는 것이다.
문제 풀이
3번 라인 : 반복문을 이용하여 문자열 슬라이싱에 사용할 n 구하기
- 문자열의 길이로 구한 이유는 만약 임의로 숫자를 적었을 때 예제보다 더 길거나 짧은 문자열이 주어졌을 경우
틀릴 수 있기 때문에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한 len()을 이용하였습니다.
4번 라인 : 조건문을 이용해서 내가 슬라이싱한 문자열이 target과 같냐고 질문합니다.
- 여기도 마찬가지로 주어진 예제의 길이가 3이어서 n+3으로 슬라이싱 하는것이 아니라
len()을 이용해서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오류가 나지 않도록 했습니다.
5번 라인 : 4번 라인의 조건문이 맞다면 answer에 1을 저장
7번 라인 : answer를 반환
위의 풀이는 반복문, 조건문, 문자열 슬라이싱
즉, 제일 기본적인 문법들만 이용해서 풀이한 것입니다.
살짝 C언어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간단한 문제가 비교적 길어보이니 조금 더 줄여보겠습니다.
이 풀이는 완전 파이썬 스타일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4번 라인 : target이 my_string 안에 존재합니까? 라는 질문입니다.
- 여기서 쓰인 in 은 in 연산자 라고 합니다.
5번 라인 : 만약 그렇다면 answer에 1을 저장합니다.
첫번째 풀이보다 훨씬 간단해졌습니다.
파이썬의 엄청난 이점을 발견했네요.
반응형
'코딩 공부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테스트로 Python 연습하기 - 2차원 배열 (0) | 2025.01.15 |
---|---|
코딩테스트로 Python 연습하기 - 형변환 (0) | 2025.01.14 |
코딩테스트로 Python 연습하기 - for문과 if문 (0) | 2025.01.13 |